안녕하세요 :) 연이음입니다. 오늘은 서비스 역기획 플젝으로 진행한 '올리브영' 서비스에 대해 탐구해보겠습니다. 먼저 역기획이 어떤 것인지부터 얘기해볼게요. 역기획이란? 역기획은 기존에 만들어져 있는 서비스를 보면서 역으로 어떻게 기획되었는지 생각/정리하는 방식입니다. 하나의 서비스의 잘된 점, 잘못된 점을 찾는 게 아니라, 서비스의 기획의도를 파악하고 의도에 따라 어떻게 기획되었는 지를 살펴보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1) (Primary) 서비스/기능의 기획의도를 찾아내는 것이 핵심이고, 2) (Optinal) 그 기획의도에 따라, 의도와 얼라인되는 새로운 제안을 하는 과정을 포함합니다. 역기획은 어떤 과정으로 진행되는 지 살펴보겠습니다. 그리고 팀 프로젝트로 올리브영 앱 서비스의 역기획을..
Product, UX
PM에게 고객 문제 발견이 중요한 이유 이번 주차에는 주로 문제정의와 고객 문제를 탐색하기 위한 다양한 리서치 방법을 학습했다. 고객의 문제를 발견하는 것은 곧 고객이 진짜 원하는 것을 찾아내는 것이다. 고객이 원하는 것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시장에서 성공하려면 결국 고객, 사용자의 선택을 받아야 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사용자의 선택을 받아야 제품이 살아남고, 성장하고, 또한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강의를 학습하면서 제품의 성공과 성장을 책임지는 PM에게 고객의 문제를 발견하는 것은 업무의 중심이자 시작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 문제란 무엇일까 강의를 들으면서, 역기획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문제'라는 단어를 수도 없이 등장한다. 도대체 '문제'란 무엇인지부터 짚어보자..
프로덕트 매니저..너 뭐야? 항해99 PM캠프의 첫번째 수업에서는 주로 프로덕트 매니저의 직무 정의, 업무 사이클, 조직문화 등의 직무 관련 전반적인 내용을 배웠다. 수업을 들으면서 그동안 모호했던 이 직무에 대해 어느정도 틀이 잡히는 가 싶다가도, 이 글을 쓰다보니 또 점점 모호해지는 중이다. 개발자는 '개발' 이라는 일로 프로덕트를 만들면 되고, 디자이너는 '디자인'으로 인터페이스와 여기서 일어나는 여러 경험을 만든다. 그렇다면 프로덕트 매니저는..? '매니지먼트' 라는 단어가 붙은 것처럼 관리를 중점적으로 하는 사람일까? 이 글에서는 프로덕트 매니저의 직무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내가 개인적으로 느낀 바를 정리해보고자 한다. 채용공고 뜯어보며 프로덕트 매니저 알아가기 프로덕트 매니저의 업무 :..
요즘 코세라라는 해외 강의 플랫폼에서 Google UX design certificate 강의를 듣고 있어요. 시작한 지 2주 정도가 된 것 같네요ㅎㅎ 오늘은 강의를 들으면서 어떻게 보면 가장 기본적인 부분! ux디자인이란 무엇인지에 대한 정의부터 좋은 디자인이란 어떤 것인지 생각해보며 글을 적게 되었습니다. 좋고 나쁨을 따지는 데에는 명확한 기준이 필요하죠. 아무래도 구글에서 진행하는 강의다보니, 구글같은 글로벌 기업은 그 기준을 어떻게 잡고 있는 지 엿볼 수 잇었답니다. Norman door Norman door 의 개념을 들어보신 적 있나요? "The Design of Everyday Things"(디자인과 인간심리) 라는 책에서 소개된 개념인데요, Norman door 란 사용하기 혼란스럽거나 어..